"이윤 창출을 넘어 부와 가치 배분이 중요하다" "사회적 요구와 기업 가치를 연결해야 한다" "착한 기업이 재무 상태도 우수하다" "기업 사회책임정보 공개 의무화해야 한다"
김혜실 기자
"사회적 책임을 잘 지는 기업이 재무상태도 좋습니다." 착한 기업이 돈도 잘 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인 리스크가 단순히 평판을 해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 재정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세정 기자
"큰 틀에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된 만큼, 사장님을 비롯한 경영진들이 들으면 유익한 포럼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돈섭 기자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단순 기부가 아니라 하나의 프로젝트다. CSR 활동을 통해 어떤 효과가 나타났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노명현 기자
김한표 자유한국당 의원(사진)은 29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양극화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임명규 기자
"사회 구성원들이 이른바 '시어머니 노릇'을 할 때 기업도 자신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겁니다. 현재 노동자와 사용자, 정부가 참여하는 '노사정위원회'가 있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건 소비자와 투자자 등이 모두 참여하는 '사회책임위원회'가 아닌가라는 질문으로 토론을 마무리 짓겠습니다."
방글아 기자
"국민연금은 일반 투자자처럼 돈 놓고 돈 따먹는 투자자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에 입각해서 투자하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나원식 기자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발전을 위해 과거 연성화돼 있던 제도를 법제화 하고 관련 정보의 공개는 자율이 아닌 의무화해야 합니다"
이상원 기자
"사회공헌(CSR) 업무를 하는 분들은 새우를 잘 먹지 않습니다. 동남아국가에선 새우 껍질을 까는 작업을 대부분 어린 아이들이 합니다. 어른 손으로는 껍질을 까는 게 어려워 고사리 손에 의존하는 건데요.
이학선 기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은 29일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국내 대기업들이 선구적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정지원 기자